안녕 ! 미라클 모닝
● 미라클 모닝 501일차 !- 콘텐츠 에볼루션에서 레볼루션으로
정리언니
2019. 6. 6. 07:07
2019.06.06.나무의날~: )♡
❤ 안냥~: )♡미라클모닝 501일차!
기분좋은 나무의날!~: )♡
모두 행복 가득한 하루 보내세용^^😚
호잇!호잇!
🎯 기분좋게 기상 하기 ⏰
AM : 5시 50분
🎯 긍정 확언 팡팡 🔊
나는 매일 최선을 다하는 내 모습을
기대한다.
🎯 건강하고,이쁜몸 만들기 🏃♀️
- 브릿지 : 50회
- 스트레칭 : 30분
- 스쿼트 : 100개
🎯 책읽는 신다르크 📖
🤣 콘텐츠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
🎯 콘텐츠 에볼루션에서 레볼루션으로
● 콘텐츠는 소유가 아닌 경험!
방송 시간에 맞추어 TV 수상 기 앞에 앉아
있기보다 내가 선택한 시간에
내가 선택한 장소에서 내가 선택한
콘텐츠를, 내가 선택한 단말기로 소비하는
시청 경향은 콘텐츠 혁명의 핵심적인 단면이다.
콘텐츠 혁명 시대 가장 큰 변화는 개인의 기호에 대한 존중과 아울러 시공간적 제약에서 벗어난 콘텐츠 서비스이다.
● 컨테이너와 콘텍스트의 차이
콘텐츠를 제대로 이해하자면 컨테이너container와 콘텍스트
개념을 정리해둘 필요가 있다.
쉽게 비유하자면 컵에 담긴 물이 있다
할 때 콘텐츠가 물이라면 컵은 컨테이너이다.
● 포노사피엔스와 모바일 최적화 콘텐츠
모바일로 콘텐츠를 소비하는 경향은 곧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에 대한 수요를 엄청나게 불러일으켰다. 이것이 '스낵컬
처'와 같은 부담 없는 내용과 형식의 콘텐츠가 선호되는 유튜브가 젊은 층을 중심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게 된 이유이다.
● 콘텐츠 소비의 대세는 동영상
세계 최대의 동영상 공유 사이트인 유튜브는 미국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가장 오랜 시간 사용하는 앱이 됐다.
전통의 포털 네이버와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을
누른 것이다.
앱 분석업체 와이즈앱에 따르
면 유튜브, 카카오톡, 네이버, 페이스북등
한국인이 많이 사용하는 일 앱의 지난 2년간
소비 시간 동향을 볼 때 유튜브의 도약과 국내 서비스들의 참패가 주목된다.
2018년 3월 한국인들의 유튜브를
사용한 시간은 257억 분.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의 179억 분을 멀찌 감치 따돌렸다.
네이버는 126억 분, 유튜브의 절반에 그쳤고 페이스북은 42억 분에 머물렀다.
🎯 신다르크의 끄적끄적....
지난번 권성현 독서 MBA에서 배기형
PD님 강의를 듣고,책의 흐름을 잡았는데,책을
보니 더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나온듯 해서 더 좋다.
또한,포노사피엔스 책과 연결되는
부분이 있어서 자연스런 연결고리가 된다.
'콘텐츠가 곧,내 자신이다'는 말을
잊지말자!
시대는 발전하고 있고,지금은 1인 미디어인
유튜브에 관심이 갈수밖에 없는건,
당연한 얘기인듯 하다.
콘텐츠를 계속 찾는 요즘, 이 책이
도움이 됬음 좋겠다.😁
#미라클모닝
#난참멋진사람이야
#나는날마다성장합니다
#연봉1억이되었습니다
#콘텐츠가너희를자유롭게하리라
#배기형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모든것을다이루었습니다
❤ 안냥~: )♡미라클모닝 501일차!
기분좋은 나무의날!~: )♡
모두 행복 가득한 하루 보내세용^^😚
호잇!호잇!
🎯 기분좋게 기상 하기 ⏰
AM : 5시 50분
🎯 긍정 확언 팡팡 🔊
나는 매일 최선을 다하는 내 모습을
기대한다.
🎯 건강하고,이쁜몸 만들기 🏃♀️
- 브릿지 : 50회
- 스트레칭 : 30분
- 스쿼트 : 100개
🎯 책읽는 신다르크 📖
🤣 콘텐츠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
🎯 콘텐츠 에볼루션에서 레볼루션으로
● 콘텐츠는 소유가 아닌 경험!
방송 시간에 맞추어 TV 수상 기 앞에 앉아
있기보다 내가 선택한 시간에
내가 선택한 장소에서 내가 선택한
콘텐츠를, 내가 선택한 단말기로 소비하는
시청 경향은 콘텐츠 혁명의 핵심적인 단면이다.
콘텐츠 혁명 시대 가장 큰 변화는 개인의 기호에 대한 존중과 아울러 시공간적 제약에서 벗어난 콘텐츠 서비스이다.
● 컨테이너와 콘텍스트의 차이
콘텐츠를 제대로 이해하자면 컨테이너container와 콘텍스트
개념을 정리해둘 필요가 있다.
쉽게 비유하자면 컵에 담긴 물이 있다
할 때 콘텐츠가 물이라면 컵은 컨테이너이다.
● 포노사피엔스와 모바일 최적화 콘텐츠
모바일로 콘텐츠를 소비하는 경향은 곧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에 대한 수요를 엄청나게 불러일으켰다. 이것이 '스낵컬
처'와 같은 부담 없는 내용과 형식의 콘텐츠가 선호되는 유튜브가 젊은 층을 중심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게 된 이유이다.
● 콘텐츠 소비의 대세는 동영상
세계 최대의 동영상 공유 사이트인 유튜브는 미국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가장 오랜 시간 사용하는 앱이 됐다.
전통의 포털 네이버와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을
누른 것이다.
앱 분석업체 와이즈앱에 따르
면 유튜브, 카카오톡, 네이버, 페이스북등
한국인이 많이 사용하는 일 앱의 지난 2년간
소비 시간 동향을 볼 때 유튜브의 도약과 국내 서비스들의 참패가 주목된다.
2018년 3월 한국인들의 유튜브를
사용한 시간은 257억 분.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의 179억 분을 멀찌 감치 따돌렸다.
네이버는 126억 분, 유튜브의 절반에 그쳤고 페이스북은 42억 분에 머물렀다.
🎯 신다르크의 끄적끄적....
지난번 권성현 독서 MBA에서 배기형
PD님 강의를 듣고,책의 흐름을 잡았는데,책을
보니 더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나온듯 해서 더 좋다.
또한,포노사피엔스 책과 연결되는
부분이 있어서 자연스런 연결고리가 된다.
'콘텐츠가 곧,내 자신이다'는 말을
잊지말자!
시대는 발전하고 있고,지금은 1인 미디어인
유튜브에 관심이 갈수밖에 없는건,
당연한 얘기인듯 하다.
콘텐츠를 계속 찾는 요즘, 이 책이
도움이 됬음 좋겠다.😁
#미라클모닝
#난참멋진사람이야
#나는날마다성장합니다
#연봉1억이되었습니다
#콘텐츠가너희를자유롭게하리라
#배기형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모든것을다이루었습니다